Link Search Menu Expand Document

종류와 특징

sejak_tea_bag

종류 채다 시기 잎의 특징 맛의 특징
우전 4월 중순, 곡우 전후 한겨울 추위를 이겨낸 첫번째 찻잎 맛과 향이 여리고 순하며, 싱그러운 맛이 있다
세작 곡우 이후, 5월 5일 입하 전 찻잎의 크기가 참새 혀 같다고 하여 ‘작설’ 차로도 불린다. 향, 맛, 색깔의 밸런스가 좋다. 가장 대중적으로 인기있다.
중작 입하 무렵, 5월 중순 창 (처음 돋는 잎), 기 (피기 시작한 잎) 이 모두 펴진 후에 잎을 1-2 장 따서 만든다. 세작보다는 더 맛이 풍부해진다
대작 5월 하순 까지 중작 보다 더 굳은 잎을 따서 만든다. 해가 길어지니 타닌이 함량이 높아지고 씁쓸 쌉쌀한 맛이 느껴진다. 주로 티백의 녹차 재료나 음료, 케잌, 아이스크림 등에 넣는 녹차 종류가 바로 대작이다.
엽차 6-7월에 채취 굳은 잎이 대부분 숭늉대신 끓여 마심. 지방분해와 노화방지 등의 효과가 있다고 함.

내 생각

울산 ‘소월당’ 이라는 곳에 갔다가 철관음차를 마신 뒤 마셨던 통을 가져왔다. ‘소월당’ 에서는 따로 다기에 마시는건 아니고 차를 담아 우릴 수 있는 용기를 주고 거기에 우려 마시고 용기를 가져가는 형식이었다. 몇일 뒤 집에서 이 용기에 세작 티백을 마시면서 녹차의 종류가 궁금해져 기록해 본다.

큰 특징을 보면 위와 같고 뭔가 인간의 일생과 상통하는 면이 있다고 생각했다.

  • ‘우전’은 아직 어린 잎이라 싱그럽고 푸르른 맛이 있고 순한 면이 있는데 이는 20대 때 우리 모습과 비슷한 면이 있다.
  • ‘세작’은 어린 잎이 좀 더 성숙하여 녹차 본연의 맛을 내기 시작하고 밸런스가 좋은 것이 30대 때의 모습과 닮은 것 같다.
  • ‘중작’은 ‘세작’의 맛이 농후해지고 풍부해 진 버전이라고 한다면 40대와 닮은 것 같다. 아직 그 나이대를 향해가고 있긴 하지만 느낌상…
  • ‘대작’은 씁쓸한 맛이 강해져 가는게 삶의 쓴 맛과 다형성을 고루 느껴본 50대 이지 않을까.
  • ‘엽차’는 … 조금은 슬픈 맛이 될 것 같다.